- 글로컬 뮤지컬 라이브 시즌5

-
-
창의특강 – 한류와 뮤지컬
일시: 2020년 8월 4일(월) 14시 40분~16시 00분
장소: 동국대학교 원흥관 I-Space
강사: 동국대 영상대학원 공연예술학과 정달영 교수
동국대 영상대학원의 정달영 교수는 한류의 바람과 뮤지컬 해외 진출의 상관관계를 다양한 예시를 들어 설명했다. 한류의 바람이 트렌드를 넘어 문화로 발전하고 있고 이것이 뮤지컬 한류를 끌어낼 것으로 전망했다.
한국의 문화 콘텐츠 경쟁력을 키운 한류
한류랑 뮤지컬이 무슨 상관인가? 강의 제목을 보고 의아해할 수 있다. 그동안 드라마, 영화, K-POP이 한류를 이끌었다. 그러나 정작 더 큰 이득을 보는 산업은 따로 있다. 한류의 인기로 국내 화장품이 날개 돋친 듯 팔렸다. 해외 관광객이 모여들었다. 전혀 무관할 것 같지만 한류가 뜨면서 한국 상품의 이미지가 좋아지고 판매에도 영향을 받는다. 한국 창작 뮤지컬도 마찬가지다.
국가별 인구 순위를 보면 선진국이 되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 인구를 갖추어야 한다. 국가 순위 1위인 미국은 인구 순위는 3위, 2위 중국은 인구 순위는 1위이다. 경제력 3위인 일본도 1억 2천 명으로 인구 순위는 8위에 해당한다. 이처럼 세계 상위권에 드는 나라들은 인구 순위 역시 높다. 우리는 5천 100만 명으로 인구 순위는 세계 28위, GDP 순위는 12위이다. 그에 반해 문화 콘텐츠 산업 순위는 7위이다. 우리나라 문화 콘텐츠 경쟁력이 뛰어나다는 의미다. 우리나라가 문화 콘텐츠에 경쟁력이 높은 데에는 한류가 기여한 바가 크다.
한류라는 단어는 중국에서 시작했다. 한류는 한국 문화의 물결이 친다는 의미다. 2000년대에는 K-DRAMA 열풍이, 2010년에는 K-POP 열풍이 불었다. 그렇다면 2020년에는 K-MOVIE, K-CULTURE 시대가 올 것이다. 시대별이 아닌 형태별로 분석하기도 한다. 한류 변천사로 보면 한류 1.0 시대엔 우리가 만든 콘텐츠를 수출하고, 2.0 시대엔 외국 연예인을 캐스팅해 해외 시장에 진출한다. 한류 3.0 시대 현지 법인, 합작 법인을 만들어서 해외에서 데뷔시킨다.

드라마 한류에서 K-Culture로
2000년대 한류를 이끌었던 K-DRAMA를 살펴보면, 1997년 <사랑이 뭐길래>로 중국에서 한류 붐이 조성됐다. 2003년 <겨울연가>가 인기를 끌고 2005년 <대장금>으로 이어진다. 주로 일본, 중국 등 동아시아에서 인기를 끌었다. 이때 한류의 인기가 어느 정도였냐면 배용준 화보집 판매 수익이 200억 원에 달했다. 도쿄돔에서 2회 팬미팅으로 10만 명을 모을 정도로 인기가 높았다. <겨울연가>의 한류 붐은 단순히 드라마의 인기로만 그치지 않는다. 드라마 촬영지인 남이섬이 관광지로 인기를 끌었고, OST, DVD, 화보집, 뮤지컬, 머천다이징 다양한 부가상품의 인기로 이어졌다. 그뿐만 아니라 한글 배우기 열풍이 일고 궁극적으로는 한국 이미지가 상승하는 효과를 낳았다. 드라마 <대장금>은 무엇보다도 한식에 대한 선호도를 높이는 데 기여했다. 이를 통해 미국에서 만두가 엄청나게 팔렸다. 만두는 원래 중국 음식인데도 한국 만두의 판매가 크게 늘었다.
2010년대 K-POP 한류는 2000년대 중후반부터 시작했다. 아시아권에서 시작한 K-POP 한류는 유럽 및 남미에서 커버 댄스 페스티벌이 열릴 정도로 엄청난 인기를 끌었다. 이후 2012년 싸이 ‘강남스타일’이 미국 빌보드 차트 2위에 오르면서 K-POP의 가치를 알게 해주었고, 2018년 방탄소년단의 등장은 K-POP의 글로벌화를 자리 잡게 했다. 이제는 방탄소년단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방탄소년단 이외에도 빌보드 5위에 진입한 아이돌 그룹이 NCT127, 슈퍼엠, 몬스타엑스까지 4개 팀으로 늘어났다.
코로나 시대에도 전방위로 성장하는 한류
코로나가 우리 일상을 바꾸어 놓았다. <기생충>이 한국 영화의 힘을 보여줌으로써 한국 영화와 드라마의 관심이 커졌다. 코로나 이후 넷플릭스 이용자가 늘어났다. 그러면서 숨어있던 한국 드라마에 관심이 높아졌다. <사랑의 불시착>은 일본 넷플릭스 1위 미국은 6위를 차지했다. <킹덤>, <이태원 클래스> 등도 일본, 미국 등의 넷플릭스에서 상위권에 올랐다. 넷플릭스를 통해 한국 드라마의 인기가 더욱 높아졌고 2015년 27억 4500만 달러였던 한류 콘텐츠 수출액이 불과 3년 만에 44억 2500만 달러로 가파르게 증가했다.
웹툰 역시 한류 붐이 일고 있다. 미국에서 한국 웹툰이 어벤져스나 슈퍼맨을 눌렀다. 전래동화를 소재로 한 <아가씨와 우렁총각>이 큰 인기를 끌었다. 미국 사람들에게 인기가 많은 이유는 무겁고 진지한 액션 스릴러물이 많은 미국 만화와 달리 한국 웹툰은 일상 소재를 바탕으로 개그, 로맨스 등 다양한 장르로 전개되기 때문이라고 한다. 해외 시장에서 웹툰의 선전을 독립적으로 생각할 수 없다. K-DRAMA, K-POP의 인기의 연장선에서 봐야 한다.
K-FORMAT, K-예능도 한류 열풍에 동참하고 있다. 한국의 TV 프로그램이 세계 시장에 수출되고 있다. 미국 폭스 방송에서 <복면가왕>의 판권을 사서 제작한 시즌2가 미국 내에서 최고 시청률 기록했다. 엠넷의 <너의 목소리가 보여>는 10개국 수출됐고, <판타스틱 듀오>도 세계 여러 나라에 수출되는 등 국내 음악 프로그램들이 해외에 많이 수출되었다.
국내 애니메이션도 해외 시장에서 놀라운 성과를 거두고 있다. <아기상어>는 동요로서 유일하게 빌보드 30위 안에 들었다. <뽀로로>, <꼬마 버스 타요>, <라바>도 해외에 수출되었다. 어려서부터 한국 만화를 보고 자라고, 나이 들어서도 한국 드라마, 한국 음악을 접하면서 전 생애에 걸쳐 한국 문화를 즐길 수 있는 환경이 됐다.

한국 콘텐츠의 수출은 한국 문화의 호감도 증가, 한국 이미지를 상승하는 효과로 이어진다. 대중문화 콘텐츠의 판매로 시작해서 파생 상품이 수출되고 이것이 화장품 같은 한국 상품의 판매로 이어진다. 궁극적으로는 한류를 통해 한국의 국가 이미지가 개선되고 있다. Fad는 단기적인 유행을, Trend는 3-5년 중장기적으로 유행이 지속되는 것을 말한다. Culture는 트렌드가 지속되는 현상이다. 한류는 일시적인 유행으로 끝날 수 있었으나 다양한 한국 문화 콘텐츠가 인기를 끌면서 하나의 문화로 정착되어 가고 있다.
이는 순수예술이라고 예외가 아니다. 피아니스트 조성진가 폴란드 쇼팽 피아노 콩쿠르에서 우승하고, 소설가 한강의 <채식주의자>가 세계 3대 문학상인 영국 맨부커상에서 수상했다. 동화 <구름빵> 역시 아동 문학계 노벨상이라는 린드 그렌상(The Astrid Lindgren Memorial Award for Literature)을 받았다.
한국 뮤지컬 역시 최근 꾸준히 해외 진출이 이루어지고 있다. 중국 시장만 살펴보면 2013년 1개 작품이 진출하던 것에서 2019년 11개 작품으로 늘어났다. 한국 문화에 선호도가 높아지면서 한류의 영향을 간접적으로 받았다. 뮤지컬 한류는 이제 동아시아에 조금씩 알려지기 시작하는 단계다. 앞으로 성장 가능성이 크다.
-
创意特讲-韩流和音乐剧
时间:2020年8月4日(一)14时40分~16时
地点:东国大学 元兴馆 I-Space
讲师:东国大学 影像大学院 公演艺术学科 郑达泳教授
东国大学影像大学园的郑达泳教授,列举多个栏里说明了韩流热风和音乐剧输出海外市场之间的相关关系。韩流热风已经超越潮流,正在往文化的方向发展,并预想这也会成为牵引音乐剧韩流的形成。
养成了韩国文化内容竞争力的韩流
韩流预音乐剧有什么关系?但看讲座的题目可能会感到讶异。到现在为止电视剧、电影、K-POP引领了韩流。但是真正受惠的产业另有其在。借着韩流的人气,韩国化妆品如虎添翼般长效,海外游客蜂拥而来。看似毫不相关,随着韩流的盛行韩国商品的形象上升,对销售也产生影响。韩国原创音乐剧也是如此。
通过观察各国人口数量排名,可以知道要成为发达国家需要一定数量的人口。国力排名第一的美国人口数排第二门派第二位的中国人口数第一。经济力量第三的日本也拥有1亿2千万的人口排在第八位。像这样,世界上排在上游的国家人口数也多。韩国人口5千100万排在28位,GDP排在12位。与之相反文化内容产业排在第七位。也就是说韩国文化内容竞争力突出。韩国文化内容产业的高竞争力,韩流功不可没。
‘韩流’这一词语来源于中国。韩流的意思是韩国文化的波涛的意思。2000年代韩剧热风、2010年代又刮起K-POP热风。那么2020年代将会是 K-MOVIE, K-CULTURE的时代。又时不以时代而已形态为标准进行分析。从韩流的变迁史中可以看出,韩流1.0时代是输出我们只做的文化商品,2.0时代是启用外国艺人向海外市场输出,。韩流3.0时代在当地设立法人、合作法人直接在海外出道。

从电视剧韩流到 K-Culture
仔细观察引领了2000年代韩流的K-DRAMA,1997年以《爱情是什么》在中国开启韩流之春。2003年《冬季恋歌》引领人气,2005年《大长今》紧随其后。主要在日本、中国等东亚地区收到欢迎。当时的韩流有多大的人气呢?仅仅是裴勇俊的写真集就达到了200亿韩元的收益。在东京巨蛋的两场粉丝见面会就能聚集10万粉丝的高人气。《冬季恋歌》的韩流之春并没有单单止步与电视剧的人气。电视剧的拍摄地南怡岛、OST、DVD、写真集、音乐剧以及其他各种周边商品也很受欢迎。不仅如此,还引发学韩语的风潮,最终达到韩国国家形象上升的效果。电视剧《大长今》在提高韩餐的喜爱度上有很大贡献。通过这部电视剧,饺子在美国畅销。尽管饺子本事中国饮食,但韩国饺子销售额增加了。
2010年代的K-POP韩流从2000年代中旬就开始了。从亚洲地区开始的K-POP韩流,在欧洲和南美等地甚至到达了开翻跳节的狂人人气。之后,2012年psy的‘江南style’登上美国billboard榜单第二名彰显K-POP的价值,2018年防弹首年团的登场让K-POP的全球化更加稳固。如今,不只是防弹少年团,进入billboard前五位的翱翔团体以增加到NCT127,SUPER M,MONSTA X四个。
新冠疫情时代全面成长的韩流
新冠疫情改变了我们的日常。《寄生虫》展现了韩国电影的力量,韩国电影和电视剧的关注度上升。新冠疫情之后,随着Netflix用户增加,以往被隐藏的对韩剧的关注度增加。《爱的迫降》在Netflix日本第一、美国第六。《王国》《梨泰院class》等也在日本、美国等的Netflix排行的上游。通过Netflix韩国电视剧的人气更加上升。2015年27亿4500万美元的韩流文化输出在3年之间已经陡升到44亿2500万美元。
网络漫画也迎来了韩流的春天。在美国韩国网漫演过了复仇者联盟和超人。以神话传说为素材的《小姐和田螺小伙子》获得高人气。受美国人喜欢是因为,与严肃沉重的动作惊悚美国漫画不同,韩国网漫以日常素材为基础有搞笑、爱情等多种体裁的展开。这不能单单看做网漫在海外市场上的成功。要在 K-DRAMA, K-POP의 成功的延长线上来看待。
K-FORMAT、K综艺等韩流热风也在一同参与。韩国的电视节目正在输出到世界市场。美国福克斯电视台购买《蒙面歌王》版权制作的《The Masked Singer》的第二季打破美国最高收视率。MNET的《看见你的声音》输出到了10个附加,《fantastic duo》也输出到好几个国家,韩国许多音乐节目输出到了海外。
韩国动画也在海外市场获得惊人的成果。《鲨鱼宝宝》是唯一一个进入billboard前三十的童谣。《波鲁鲁》《小巴士TAYO》《爆笑虫子》也输出到了海外。现在已经形成了从小看韩国动画长大,长大后看韩剧听韩国音乐,一生东可以享受韩国文化的环境。

韩国文化内容的输出,继而带来了韩国文化好感度增加、韩国国家形象上升的效果。从出售大众文化内容开始到衍生商品的输出,这已延续淡了化妆品等韩国商品的销售。最终通过韩流韩国的国家形象在改善。Fad指短时间内的流行,Trand则是指3~5年的中长期持续性的流行。Culture是Trand一直持续的现象。韩流本来可能以一时的流行结束,但因为多种韩国文化内容持续引领人气,这正在成为一种文化。
纯艺术也不例外。钢琴家Jo Seongjin在波兰肖邦钢琴演奏赛上获胜,小说家韩江的小说《素食者》获得世界三大文学赏之一英国布克奖。童话《云彩面包》获得被称为儿童文学界诺贝尔奖的 阿斯特里德·林德格伦文学纪念奖(The Astrid Lindgren Memorial Award for Literature)。,
韩国音乐剧最近也正持续的向海外输出。观察对中国市场输出,已从2013年1个作品到2019年增加到11个作品。随着对韩国文化的选好度的上升,间接的收到韩流的影响。音乐剧韩流现在开始进入在东亚市场逐渐被认知的阶段。今后成长的可能性很大。
-
創意特別講義-韓流とミュージカル
日時:2020年8月4日(月)14時40分~16時
場所:東国大学ウォンフン館I-Space
講師:東国大学映像大学院公演芸術学科チョン・ダルヨン教授
東国大学映像大学院のチョン・ダルヨン教授は、韓流とミュージカルの海外進出の相関関係について多様な例を挙げて説明した。韓流がトレンドを超えて文化に発展しつつあり、それがミュージカル韓流を引き起こすと見通している。
韓国の文化コンテンツの競争力を育てた韓流
韓流とミュージカルにはどんな関係があるのだろうか?講義のテーマを見ると不思議に思うかもしれない。これまでドラマ、映画、K-POPが韓流を率いてきた。しかし、いざさらに大きな利益を得ている産業は他にある。韓流の人気により韓国コスメが飛ぶように売れた。海外観光客が押し寄せた。まったく無関係のように見えるが、韓流ブームによって韓国商品のイメージが向上し、売れ行きにも影響を及ぼしている。韓国創作ミュージカルも同じだ。
国ごとの人口順位を見ると先進国になるためには、ある程度の人口を有しなければならない。国家ランキング1位のアメリカは人口順位は3位、2位の中国は人口順位は1位だ。経済力3位の日本も1億2千人と人口順位は8位だ。このように世界の上位圏に入っている国は人口順位もやはり高い。韓国は5,100万人と人口順位は世界28位、GDP順位は12位だ。それに反して文化コンテンツ産業の順位は7位。これは韓国の文化コンテンツが著しい競争力を持っていることを意味している。韓国が文化コンテンツの競争力が高いのには韓流が大きく貢献している。
韓流という言葉は中国から始まった。韓流は韓国文化の波が打つという意味だ。2000年代にはK-DRAMAブームが、2010年にはK-POPブームが起こった。ならば、2020年にはK-MOVIE、K-CULTURE時代が来るだろう。時代別ではないタイプ別に分析もしている。韓流変遷史を見ると韓流1.0時代には私たちが作ったコンテンツを輸出して、2.0時代には外国の芸能人をキャスティングして海外市場に進出している。韓流3.0時代には現地法人、合弁法人を作って海外でデビューさせる。

ドラマ韓流からK-Cultureへ
2000年代に韓流を率いていたK-DRAMAを見てみると、1997年『愛が何だって』で中国で韓流ブームが巻き起こった。2003年『冬のソナタ』が人気を集め、2005年『チャングムの誓い』へと続く。主に日本、中国など東アジアで人気を集めた。当時の韓流の人気がどれほどかと言えば、ぺ・ヨンジュンの写真集の販売収益が200億ウォンに達した。東京ドームで2回ファンミーティングを行い10万人を動員するほど人気が高かった。『冬のソナタ』の韓流ブームは単純にドラマの人気だけにとどまらなかった。ドラマの撮影地の南怡島が観光地として人気を集め、挿入歌、DVD、写真集、ミュージカル、関連グッズなど多様な付加商品の人気へとつながった。それだけでなく、韓国語ブームまで起こり、究極的には韓国のイメージを上げた。ドラマ『チャングムの誓い』は、韓国料理ファンを増やすことに貢献した。これを通してアメリカでマンドゥ(餃子)が非常に売れた。マンドゥは元々中国の食べ物だが、韓国マンドゥの売れ行きが大きく増えた。
2010年代のK-POPブームは2000年代半ばから始まった。アジア圏で始まったK-POPブームはヨーロッパおよび南米でカバーダンスフェスティバルが開かれるほど高い人気を集めた。その後2012年にPSYの『江南スタイル』がアメリカビルボードチャート2位を記録し、K-POPの価値を知らせ、2018年BTSの登場はK-POPのグローバル化を定着させた。いまやBTSにとどまらず、ビルボードTOP5にチャートインしたグループは、NCT127、SUPER M、モンスターXと4グループに増えた。
コロナ時代にも全般的に成長する韓流
コロナ禍が私たちの日常を変えてしまった。『パラサイト』が韓国映画の力を見せたことで韓国映画とドラマへの関心が高まった。コロナ禍以降、ネットフレックスの利用者が増えた。そんな中、隠れていた韓国ドラマへの関心が高まった。『愛の不時着』は日本のネットフレックスで1位、アメリカでは6位を獲得した。『キングダム』『梨泰院クラス』なども日本、アメリカなどのネットフレックスで上位圏に入っている。ネットフレックスを通して韓国ドラマの人気がさらに高まり、2015年に27億4,500万ドルに達していた韓流コンテンツの輸出額がわずか3年で44億2500万ドルへと急増した。
ウェブ漫画もやはり韓流ブームが起きている。アメリカで韓国ウェブ漫画がアベンジャーズやスーパーマンを押さえた。昔話を素材にした『お嬢さんとタニシの婿』が大きな人気を集めている。アメリカ人に人気が高い理由は、重くて真剣なアクションスリラーが多いアメリカ漫画と異なり韓国のウェブ漫画は日常を素材にしたコメディ、恋愛ストーリーなど様々なジャンルで展開されているからだという。海外市場でウェブ漫画の活躍を独立的に見ることはできない。K-DRAMA、K-POPの人気の延長線上にあると見るべきだ。
K-FORMAT、K-バラエティーも韓流ブームに賛同している。韓国のテレビ番組が世界市場に輸出されている。アメリカFOXテレビで『覆面歌王』の著作権を買って制作した『The Masked Singer』シーズン2がアメリカで最高視聴率を記録した。Mnetの『君の声が見える』は10か国に輸出され、『ファンタスティックデュオ』も数か国に輸出されるなど韓国の音楽番組が海外に多く輸出されている。
韓国アニメも海外市場で驚くべき成果を見せている。『ベイビーシャーク』は童謡として唯一ビルボード30位内に入った。『ポロロ』『ちびっこバスタヨ』『ラーバ』も海外に輸出された。幼い頃から韓国漫画を見て育ち、年を取っても韓国ドラマ、韓国の音楽に触れながら生涯に渡って韓国文化を楽しめる環境になった。

韓国コンテンツの輸出は韓国文化の好感度の高まり、韓国に対するイメージの向上という効果に繋がる。大衆文化コンテンツの販売から始まり派生商品が輸出され、それがコスメのような韓国製品の販売へと繋がる。究極的には韓流を通して韓国のイメージが改善されている。Fadは短期的な流行を、Trendは3〜5年の中長期的に流行が続くことを言う。Cultureはトレンドが続く現象だ。韓流は一時的な流行で終わる可能性があったが、多様な韓国文化コンテンツが人気を集めながらひとつの文化として定着しつつある。
これは純粋芸術も例外ではない。ピアニストのチョ・ソンジンがポーランドショパンピアノコンクールで優勝し、小説家ハンガンの『菜食主義者』が世界3大文化賞のひとつイギリスブッカー省で受賞した。童話『くものパン』も児童文学界のノーベル賞と呼ばれるアストリッド・リンドグレーン記念文学賞を受賞した。
韓国ミュージカルもこの頃地道に海外進出を続けている。中国市場だけを見ると2013年に1作品が進出し、2019年には11作品に増えた。韓国文化への関心が高まり韓流の影響を間接的に受けているのだ。ミュージカル韓流は、すでに東アジアに少しずつ広まり始めている。今後、成長の可能性が高い。
-
Creative lecture - Korean Wave and Musical
Date and Time: August 4, 2020 (Mon) 14:40-16:00
Venue: Dongguk University Wonheung building I-Space
Lecturer: Professor Jung Dal-young, Department of Performing Arts, Dongguk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Digital Image & Contents
Professor Jung Dal-young of the Dongguk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Digital Image & Contents explained the correlation between Korean wave and the overseas expansion of Korean musicals with examples. Korean wave is going beyond a trend and developing into a culture, and he predicted this will lead to Korean wave of musicals.
Korean Wave Making Korean Cultural Content Competitive
What does Korean wave have to do with musicals? The title of the lecture can be a bit puzzling. Korean dramas, movies, and k-pop have led the Korean wave so far. However, some other industries have had bigger benefits from this. It was Korean cosmetic products that sold like wildfire with the popularity of Korean wave. Tourists from abroad visited It may seem irrelevant, but the image of Korean product is improved with the popularity of Korean wave and that affects the sales as well. The same goes for the Korean original musicals.
It is showed in the population ranking of countries that a country needs to have a certain number of population in order to join the ranks of advanced countries. The world country ranking number one the United States is in the third place, and the ranking number 2 China is in the first place of the population ranking. Japan, ranked third in the global economy ranking, has a population of about 100 million which ranks eighth. Top ranked countries also rank high in the population ranking. South Korea has population of 51 million which ranks 28th, and GDP ranking of 12th. On the other hand, Korea's cultural content industry is ranked in the 7th place. This indicates that Korean cutural content is competitive. Korean wave has played a huge role to make Korean cutural content competitive.
The term Korean wave originated in China. It means a wave of Korean culture hits. Following the K-drama craze during 2000s, there was a K-pop craze during 2010s. And in 2020, there will be a wave of K-movie and K-culture. It is also analyzed by the form, not by the periods of time. Viewing Korean wave in its changing forms, we created and exported the content in Korean wave 1.0 era, and we had foreign cast in the content that we exported overseas in Korean wave 2.0 era. In Korean wave 3.0 era, we manage local and joint corporations, make their debut aborad.

From K-drama Wave to K-culture
Looking back at the K-drama that led to Korean wave in the 2000s, the first to create a boom in China was "Love, So What?" in 1997. Then there is "Winter Sonata" in 2003, and "Jewel in the Palace" in 2005. They were popular in East Asia, including China and Japan. The popularity of Korean wave was enormous then, and the profits from the sale of Bae yong-joon's photo book amounted to KRW 20 billion. He was also popular enough to attract a hundred thousand fans for two days fan meeting in Tokyo Dome. "Winter Sonata" didn't just end with drama's popularity. Namisum, the island where the drama was filmed, became popular as a tourist destination, and the drama's popularity lead to popularity of its derivative products like OST, DVD, photo book, musical, and merchandising . Moreover, it created a boom of learning Korean, and ultimately proved image of Korea. "Jewel in the Palace" most particularly contributed to increasing preference for Korean food. It sold a lot of dumplings in the United States. Although Dumplings are originally Chinese food, Korean dumplings sales had skyrocketed.
2010s Korean wave of K-pop began in the mid-to-late 2000s. Started in Asia, K-pop has become so popular that cover dance festivals were held in Europe and South America. Later in 2012, Psy's "Gangnam Style" reached number 2 on U.S. Billboard chart, getting the value of K-pop appreciated, and in 2018, BTS established the globalization of K-pop. Not only BTS, but three more K-pop groups, NCT127, SuperM, MostaX, had reached top 5 on Billboard.
Korean wave expanding in every direction even during the pandemic
Covid-19 has changed our daily lives. "Parasite" showed the power of Korean cinema, leading to a growing interest in Korean movies and drama. Netflix users have increased since Covid-19 has begun. Interest in K-drama went up. "Crash Landing on You" ranked number 1 on Netflix Japan and 6th on Netflix USA. "Kingdom" and "Itaewon Class" also ranked high on Netflix Japan, USA, etc. The popularity of K-drama has risen through Netflix and Korean content exports rose steeply from USD 2.745 billion to USD 4.425 billion in just three years.
Webtoon is among the Korean wave. In the United States, Korean Webtoon outdid Avengers and Superman. "The Lady and Her Butler" which took motif from a Korean traditional folktale was very popular. It is said that the reason Webtoons are popular in the US is because they use everyday material in various genres like comedy and romance, unlike American comics that are mostly dark and heavy action genres. You can not consider its popularity overseas independently. It should be seen as an extension of the popularity of K-drama and K-pop.
K-format and K-variety TV show also join the Korean wave. South Korean TV shows are being exported to global markets. "The Masked Singer" Season 2, which was produced by Fox Broadcasting Company, recorded the highest viewing rate in the United States. Many Korean music TV programs have been exported abroad, including Mnet's "I Can See Your Voice" which was exported to 10 countries, and the "Fantastic Duo" that was also exported to many countries around the world.
Korean animation has also achieved remarkable results in overseas markets. "Baby Shark" is the first and only song to be on Billboard Top 30. "Pororo", "Tayo the Little Bus", "Larva" were also exported abroad. It has now become possible for a kid to grow up watching Korean cartoons, Korean dramas when they get older, and listening to K-pop even abroad.

Exporting Korean content has effects of ascending Korea's image and likeability of its culture. Starting with the sale of popular culture content, derivative products are exported and this leads to the sale of other Korean products such as cosmetics. Korean wave is ultimately improving the image of South Korea. 'Fad' refers to short-term popularity, and 'Trend' refers to longer term popularity that lasts for about three to five years. 'Culture' is a trend that persists. Korean wave could have ended just as a fad, however, it is settling down as a culture as various Korean cultural content gained popularity.
Fine arts is no exception. Pianist Cho Seong-jin won the Chopin Piano Competition in Poland, and "Vegetarian" by Han Kang won one of three major international literary prizes, the Man Booker Prize. Children's book "Cloud Bread" also won the Astrid Lindgren Memorial Award for Literature which is considered to be a Nobel Prize of children's literature.
There has been continuous overseas export of Korean original musicals recently. The number of exported works increased especially in Chinese musical market, from one in 2013 to eleven in 2019. It was indirectly affected by Korean wave as the likeability of Korean culture got higher. Korean wave of musical is only beginning to be known in East Asia. Possibility of further growth is high.
- 목록으로